ISA계좌 만기는 언제가 좋을까? | 추가 세액공제에 대해서 알아보기

ISA 계좌 개설하셨나요? 세테크효과를 극대화하는 운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ISA계좌 만기는 언제가 좋을까? | 추가 세액공제에 대해서 알아보기

ISA계좌 투자는?

01. 일반주식

- 주식을 사서 매매차익을 생각해본다면 일반계좌에서 해도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(X)

02. ISA계좌 투자

- 배당이 많이 나오는 주식, 리츠

- 국내상장주식에서도 해외기업에 투자하는 ETF ✔매매차익도 배당소득세를 내야 합니다.

ISA계좌 재가입

01. 비과세, 분리과세 혜택

- 매년 해주는것이 아닙니다.(X)

- 계좌를 해지하면서 찾을 때 발생하는 차익에 대해서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.(0)

- 의무가입기간 : 3년 ✔3년마다 200만~400만원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면 3년마다 해지하고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.

02. 추가 세액공제

- 찾은 금액을 연금계좌(연금저축 또는 IRP)에 넣는 것입니다.✔연금저축이 더 낫습니다.

- 넣은 금액의 10%, 최대 300만원까지 추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.✔16.5% 또는 13.2%

ISA만기 선택

01. 금융소득이 많은 경우라면
- 3년만기가 끝나고 1년연장 희망한다면 연장이 가능합니다.(0)
- 단, 만기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면, 만기 연장이 불가합니다(X)
- 그래서 만기를 길게 하고, 중간에 해지도 가능합니다. ✔3년만 넘으면 언제 해지해도 모든 혜택 동일합니다.

02. ISA 내에서 발생한 이자, 배당소득은 만기 때 세금부과
- 일정 금액 비과세, 저율 9.9 분리과세

03. 넣고 있는동안 복리효과가 있습니다.

04. 찾은 금액은 연금계좌에 넣습니다. 

- 만기 ISA 자금→연금 계좌에 넣은 경우

✔납입한도: 연간 1800만원 + ISA 만기자금 수령액 

✔세액공제 한도: 연금계좌 납입금액 한도 900만원(연금저축+IRP) + ISA 전환 금액의 10% 한도 300만원 →세액공제가 된다면16.5% 최대 495.000원 절약

✔주의 : 지금 당장 인출하는것이 아니라 노후 연금으로 받으실 분들만 연금계좌에 넣으시는걸 추천드립니다.

- 55세이후에 찾을수 있습니다.

- 한번에 받는게 아니라 10년에 나눠서 받을 수 있습니다.

ISA 건강보험료 인상?!

01. 지역보험가입자의 경우
- 금융소득이 1000만원이 넘게 되면 전체가 건보료 산출에 들어갑니다.

02. ISA 소득
- 금융소득으로 보지 않습니다.(X) ✔건보료에 제출이 되지 않습니다.

ISA 계좌 자주묻는 질문 FAQ

01. ISA 계좌에 중도인출이 가능한가요?
- 예전에는 불가했지만 현재는 원금인출은 가능합니다. 수익이 난다면 인출이 불가합니다(X)

02. 일반형 ISA에 가입해도 서류없이 서민형으로 전환되나요?
- 국세청에서 소득자료를 증권사에 보내주고 자동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. ✔요건이 된다면 서민형으로 전환가능합니다.(0)
- 처음 서류절차가 번거롭다면 일반형으로 비대면 가입후 1년뒤 자동으로 전환도 가능합니다. ✔요건이 되는 경우 가능합니다.(0)

03. 신탁형 ISA를 중개형 ISA로 교체할 수 있나요?
- 증권사에 가서 요청하면 가능합니다.
- 단 신탁형에 예금 상품 그대로 이동은 불가하고 현금화를 한 다음에 이동이 가능합니다. 

04. 일반주식위탁계좌 주식을 중개형 ISA로 이전되나요?
- ISA계좌는 현금으로 넣어야 하기 때문에 불가합니다.(X)
- 주식을 팔고 현금으로 넣어야 됩니다. 


댓글 쓰기

다음 이전